맨위로가기

함양 여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 여씨는 중국 당나라에서 건너온 어매(禦梅)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어매는 신라 헌강왕 때 황소의 난을 피해 신라에 정착하여 전서(典書)를 지냈으며, 그의 후손에서 성산 여씨와 함양 여씨로 분파되었다. 고려 시대에 여양유를 성산 여씨의 중시조, 여임청을 함양 여씨의 중시조로 하여 대대로 벼슬을 지냈으며, 조선 시대에는 여칭, 여자신, 여우길, 여이징 등이 주요 인물로 활동했다. 특히 독립운동가 여운형은 여우길의 후손이다. 함양 여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33명을 배출했으며, 현재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김천시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 여씨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함양 여씨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함양 여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함양 여씨
한자 표기咸陽 呂氏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함양군
창립자여어매(呂禦梅)
관련 인물여진구
여운곤
여운계
여운형
여우길
여한구
역사
시조여어매 (呂禦梅)
중시조여임청 (呂林淸)
집성촌
인구 통계
2015년 인구34,835명

2. 역사

함양 여씨의 시조는 당나라 한림학사 어매(禦梅)이다. 그는 희종 건부 4년(877년, 신라 헌강왕 3년) 황소의 난을 피해 신라로 와서 전서(典書)를 지냈다.[1] 어매는 성산(星山)에서 대성(大姓)을 이루었고, 후예는 성산 여씨(星山呂氏)와 함양 여씨로 분관되었다.[1]

어매 이후 고려시대에 대대로 벼슬을 지냈을 것으로 추정되나, 연대가 오래되어 휘자(諱字)와 관직, 몇 대를 내려왔는지는 알 수 없다. 고려 말엽 성산에서 거인진사(擧人進士)로 발신(發身)하여 고려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낸 여양유(良裕)는 성산 여씨의 중시조(中始祖)이고, 고려 대장군(大將軍) 여임청(林淸)은 함양 여씨의 중시조이다.

여칭은 고려 때 전라도 안렴사를, 조선 태조 때 형조판서를 지냈다. 그의 증손 여자신은 병조판서를 지내고 청백리에 올랐다. 여칭의 8대손 여우길·여유길은 선조 때 문과에 급제, 광해군 때 관찰사와 병조참판을 지냈다. 여운형여우길의 11대손이다. 여유길의 아들 여이징은 1624년(인조 2)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예조·이조·공조 참판, 경기도관찰사·한성부좌윤·부제학·대사성·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여이징의 종제(從弟) 여이재는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여우길의 손자 여성제는 소론(少論)으로서 숙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2. 1. 시조 및 기원

함양 여씨(咸陽呂氏)의 시조는 중국 당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어매(禦梅)이다. 그는 희종 건부(乾符) 4년(877년, 신라 헌강왕 3년)에 황소의 난을 피해 래주(萊州)에서 신라로 건너와 전서(典書)를 지냈다.[1] 어매는 성산(星山)에서 대성(大姓)을 이루었으며, 그의 후예가 성산 여씨(星山呂氏)와 함양 여씨(咸陽呂氏)로 분관(分貫)되었다.[1]

2. 2. 고려 시대

전서공(典書公) 어매 이후 고려시대에 대대로 벼슬을 지냈을 것으로 추정되나, 연대가 현원(玄遠)하여 휘자(諱字)와 관직, 몇 대를 내려왔는지 알 수 없다. 고려 말엽 성산 고을에서 거인진사(擧人進士)로 발신(發身)하여 고려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낸 여양유(良裕)를 성산 여씨의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고려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여임청(林淸)을 함양 여씨의 중시조(中始祖)로 한다. 성산 여씨는 성주, 김천, 대구 등지에, 함양 여씨는 서울, 청주, 영동 등지에 세거(世居)하고 있다.

2. 3. 조선 시대

여칭은 고려 시대에 전라도 안렴사를 지냈고, 조선 태조 때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여칭의 증손 여자신은 병조판서를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여칭의 8대손인 여우길·여유길은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광해군 때 관찰사와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여유길의 아들 여이징은 1624년(인조 2)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예조·이조·공조 참판과 경기도관찰사·한성부좌윤·부제학·대사성·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여이징의 종제(從弟) 여이재는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여우길의 손자 여성제는 소론(少論)으로서 숙종 때 영의정에 이르렀다.

3. 분파

성산 여씨와 함양 여씨는 중국 당나라에서 한림학사를 지낸 어매(禦梅)를 시조로 한다. 어매는 877년 (신라 헌강왕 3년)에 황소의 난을 피해 신라로 건너와 전서를 지냈다.[1] 어매는 성산에서 대성(大姓)을 이루었으며, 그 후예가 성산 여씨와 함양 여씨로 분관되었다.[1]

고려 말엽 성산 고을에서 거인진사로 발신하여 고려 삼중대광을 지낸 여양유(良裕)를 성산 여씨의 중시조로 하고, 고려 대장군을 지낸 여임청(林淸)을 함양 여씨의 중시조로 한다.[1] 성산 여씨는 성주, 김천, 대구 등지에, 함양 여씨는 서울, 청주, 영동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1]

4. 인물

함양 여씨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사람들이 많다.


  • 여칭(呂稱): 고려 말 전라도 안렴사를 지냈고, 조선 건국 후 형조판서를 역임했다.
  • 여자신(呂自信): 여칭의 증손으로, 병조판서를 지냈으며 청백리에 올랐다.
  • 여우길(呂祐吉): 선조 때 문과에 급제, 광해군 때 관찰사와 병조참판을 지냈다.
  • 여이징(呂爾徵):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요직을 거쳤다.
  • 여이재(呂爾載): 여이징의 사촌 동생으로, 영국공신에 책봉되고 형조판서에 올랐다.
  • 여성제(呂聖齊): 여우길의 손자로, 숙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 여운형(呂運亨): 여우길의 11대손으로, 독립운동가이다.

4. 1. 고려

중국 당나라에서 한림학사를 지낸 어매(禦梅)가 희종 건부 4년(877년, 신라 헌강왕 3년)에 황소의 난을 피해 래주(萊州)에서 신라로 건너와 전서를 지냈다. 어매는 성산에서 대성(大姓)을 이룬 여씨(呂氏)의 시조이며, 그 후예는 성산 여씨와 함양 여씨로 분관되었다.[1]

전서공 이후 고려에서 대대로 벼슬을 지냈을 것이나, 연대가 현원하여 휘자와 관직, 몇 대를 내려왔는지 알 수 없다. 고려 말엽 성산 고을에서 거인진사로 발신하여 고려 삼중대광을 지낸 여양유(良裕)를 성산여씨의 중시조로 하고, 고려 대장군을 지낸 임청(林淸)을 함양 여씨의 중시조로 한다. 성산 여씨는 성주, 김천, 대구 등지에, 함양 여씨는 서울, 청주, 영동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1]

여칭(呂稱)은 고려조에 전라도 안렴사를 지내고, 조선 태조 때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그의 증손 여자신(呂自信)은 병조판서를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1]

4. 2. 조선

여칭(1351년 ~ 1423년)은 고려 말 여러 관직을 거쳐 조선 개국 후 형조판서를 지냈다. 특히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왕실 계통 문제를 해결하고 조선 동포 송환에 기여하였다.[5] 여자신은 무과 출신으로 병조참판, 여러 지역의 관찰사, 병조 및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청백리로 이름을 알렸다.

여우길(1567년 ~ 1632년)은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의 외교에서 포로 쇄환 등에 공을 세웠다. 여이징(1588년 ~ 1656년)은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 예조, 이조, 공조 참판과 경기도관찰사, 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여이재(1600년 ~ 1665년)는 문과 급제 후 형조판서에 이르렀고, 여성제(1625년 ~ 1691년)는 숙종 때 영의정까지 올랐다. 독립운동가 여운형(1886년 ~ 1947년)은 여우길의 후손이다.

4. 3. 대한민국


  • 여칭(, 1351년 ~ 1423년) : 고려 말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 조전부사, 판합문사, 승추부우군동지총제 등을 지냈다. 근면하고 치밀한 성품으로 정평이 났다.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참지의정부사가 되었고, 1400년(정종 2) 병조 전서, 1402년(태종 2) 동북면 도순문찰리사를 역임했다. 1404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가서 왕실 계통 문제를 해결하고 억류된 조선 동포들을 송환하는 데 기여했다. 서북면 도순문찰리사 겸 병마도절제사, 개성유후사유후를 거쳐 1413년 좌군도총제, 형조판서가 되었다. 1414년 지의정부사를 지내고 흠문기거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5]
  • 여자신 : 무과 급제 후 1479년(성종 10) 병조참판, 1486년 영안남도절도사로 공을 세워 1490년 공조참판, 병조참판에 임명되었다. 경기도·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하고, 1492년 지중추부사로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93년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지냈고, 연산군 때 오위도총부도총관, 전라도·함경도 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중종반정 후 병조·형조판서를 지냈다. 아들 여윤철과 함께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다. 시호는 정장(貞莊)이다.
  • 여우길(, 1567년 ~ 1632년) : 1591년(선조 24)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596년 사신 일행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장령, 직강 등을 역임하였다. 성품이 너그럽고 온화하여 요직에 오래 머물렀다. 1603년 밀양부사를 거쳐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임진왜란 후 사신으로 일본을 왕래하며 포로 송환에 공을 세웠다. 평안도안무사를 지냈고, 1614년(광해군 6) 진위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1618년 공홍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 여이징(, 1588년 ~ 1656년) : 1624년(인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626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다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가 전적을 거쳐 병조·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병자호란 후 이조참판, 경기도관찰사, 한성부좌윤, 예조참판을 지내고, 1641년 함경도관찰사로 나가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다. 대사성, 대사헌, 강화부유수, 부제학, 도승지, 공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동강집』이 있다.
  • 여이재(, 1600년 ~ 1665년) : 1637년(인조 15) 문과에 급제하여 도승지, 호조참판, 동지중추부사, 한성우윤, 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 여성제(, 1625년 ~ 1691년) : 숙종 때 의금부판사,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지낸 뒤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 여운형(, 1886년 ~ 1947년) : 독립운동가

5. 과거 급제자

함양 여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3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



음관


6. 항렬자

함양 여씨 항렬표[4]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영(永)동(東)섭(燮)규(圭)현(鉉)운(運)구(九)인(寅)수(壽)성(成)희(熙)병(秉)재(宰)정(廷)조(肇)종(鍾)준(準)상(相)환(煥)기(基)


7. 집성촌


8.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6,028가구25,115명
2000년8,040가구25,667명
2015년57,796명[1]



2015년 기준 함양 여씨는 34,835명, 성주 여씨는 13,467명, 성산 여씨는 9,494명이다.

9. 성산 지명

성산(星山)은 현재의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 지역으로, 성산가야(星山伽倻)에서 유래하였다.[1] 성주군은 본래 6가야국(六伽倻國)의 하나인 성산가야국(星山伽倻國)이었으나, 신라가 멸망시키고 본피현(本彼縣)이라 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 신안현(新安縣)으로 고쳐 성산군(星山郡)에 속하게 하였다.[1]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함양여씨 咸陽呂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8
[4] 웹사이트 여씨(呂氏) 본관(本貫) 성산(星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문서 세종실록 19권, 세종 5년 3월 28일 기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